튜플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문제 설명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 {{2}, {2, 1}, {2, 1, 3}, {2, 1, 3, 4}}
- {{2, 1, 3, 4}, {2}, {2, 1, 3}, {2, 1}}
-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111, 20)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11}, {111,20}}이 되며, 이는 {{20,111},{111}}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4
(123)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23}} 입니다.
입출력 예 #5
(3, 2, 4, 1)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3},{3,2},{3,2,4},{3,2,4,1}}이 되며, 이는 {{4,2,3},{3},{2,3,4,1},{2,3}}과 같습니다.
[Programmers]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 튜플 (Python)
1일 1문제 69일차! 오늘의 문제는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문제였던 튜플 입니다.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
somjang.tistory.com
이건 이분 껄 참고했다.
replace 의 사용법
dojang.io/mod/page/view.php?id=1334
COS Pro 2급 파이썬: 22.3 문자열 조작하기
22.3 문자열 조작하기 문자열은 문자열을 조작하거나 정보를 얻는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문자열 메서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기서는 자주 쓰는 메서드를 설명하
dojang.io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의 사용법에 대해 배웠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 .most_common()
www.daleseo.com/python-collections-counter/ [파이썬] collections 모듈의 Counter 클래스 사용법 Engineering Blog by Dale Seo www.daleseo.com Counter : 문자열에 있는 문자의 수를 추출해준다. .most_commo..
zoozoozoo.tistory.com
여기에 정리 해둠
def solution(s):
answer = []
s1 = s.lstrip('{').rstrip('}').split('},{')
new_s = []
for i in s1:
new_s.append(i.split(','))
new_s.sort(key = len)
for i in new_s:
for j in range(len(i)):
if int(i[j]) not in answer:
answer.append(int(i[j]))
return answer
다른분의 풀이이다.
배울게 많다.
문자열에서 lstrip을 사용해서 제거하고 배열에 넣어준다. split는 저부분을 기점으로 구분해준다는 것이다.
for i in new_s:for i in new_s:
for j in range(len(i)):
if int(i[j]) not in answer:
이 부분에서 감탄했고 하나씩 확인해주는 방법의 여러가지를 배웠다.
new_s.sort(key = len) 배열의 key를 길이로 순서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