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4444
24444번: 알고리즘 수업 - 너비 우선 탐색 1
첫째 줄에 정점의 수 N (5 ≤ N ≤ 100,000), 간선의 수 M (1 ≤ M ≤ 200,000), 시작 정점 R (1 ≤ R ≤ N)이 주어진다. 다음 M개 줄에 간선 정보 u v가 주어지며 정점 u와 정점 v의 가중치 1인 양방
www.acmicpc.net
<시간 복잡도>
이 문제의 시간 복잡도는 n^2? for 문이랑 while문이 들어가니 그렇게 생각한다
<코드>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sys.setrecursionlimit(100000)
n, m, r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graph = [[] for i in range(n + 1)]
visited = [False] * (n + 1)
cnt = 1
visited_order = [0] * (n+1)
for i in range(m):
u, v = map(int, sys.stdin.readline().split())
graph[u].append(v)
graph[v].append(u)
for i in range(len(graph)):
graph[i].sort()
def bfs(r,visited,cnt,visited_order):
que = deque()
que.append(r)
while que:
now = que.popleft()
if not visited[now]:
visited[now] = True
visited_order[now] = cnt
cnt+=1
for i in range(len(graph[now])):
que.append(graph[now][i])
return visited_order
visited_order = bfs(r,visited,cnt,visited_order)
for i in range(1,len(visited_order)):
print(visited_order[i])
<해설>
확실히 bfs 는 dfs 보다 직관적이여서 쉽다.
우선 이 문제를 풀때는 너비 탐색이므로 deque 를 이용하였다.
문제를 풀면서 우선 방문 가능한 곳을 다 que 에 넣어주고 하나씩 빼면서 방문 처리하면서 진행하면 된다.
약간 문제를 풀때 함수에 입력하는 값들이 너무 지져분한거 같다.
클린 코드를 짜기위해 노력해야겠다.
반응형
'알고리즘 공부 > BFS & DF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206번 벽 부수고 이동하기 - python (0) | 2022.06.10 |
---|---|
[백준] 24445번 알고리즘 수업 - 너비 우선 탐색 2 - python (0) | 2022.06.10 |
[백준] 24480번 알고리즘 수업 - 깊이 우선 탐색 2 - python (0) | 2022.06.09 |
[백준] 24479번 알고리즘 수업 - 깊이 우선 탐색 1- python (0) | 2022.06.09 |
[백준] 2583번 영역 구하기 - 파이썬 (0) | 202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