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 main(void) #머리
{
10+20; #몸통
return 0; #몸통의 마지막 부분에 넣어서 프로그램 종료
}
main 함수는 프로그램의 시작을 의미한다.
/* 작성자 : 홍길도
제목 : 10과 20을 더하는 프로그램*/ 주석은 이렇게 표현한다.
규칙 1
세미콜론 (;)을 사용하여 문장의 끝을 표시합니다. 세미콜론은 문장의 마침표와도 같습니다.
규칙 2
한 줄에 한문장씩 작성합니다.
규칙 3
일정한 간격으로 들여씁니다. (기본 4칸 자동 들여쓰기)
출력함수 printf : 문자열 출력
화면에 데이터르 출력할 때는 printf 함수를 사용합니다. print formatted 라는 뜻으로 일정한 형식에 따라 출력
#include<stdio.h>
int main(void)
{
printf("be happy");
printf("my frined");
return 0;
}
1행은 stdio.h 는 무엇일까?
내용을 프로그램안에 복사한다는 의미
stdio.h 는 standard input output을 의미하며 c언어에서 기본으로 사용하는 입출력 함수가 들어 있다.
여기서 printf 함수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출력하는 것입니다.
제어 문자 출력
printf 함수로 출력할 때 행을 바꾸려면 제어문자를 사용해야 합니다.
제어문자란 문자는 아니지만, 출력 방식에 영향을 주는 문자를 의미
제어 문자를 문자열 안에 포함시키면 그 기능에 따라 출력형태를 바꿔줌
제어 문자는 일반 문자와 구분하기 위해 백슬래시\와 함께 사용
\n 다음줄로 이동
#include<stdio.h>
int main(void)
{
printf("be happy\n");
printf("my frined");
return 0;
}
#include<stdio.h>
int main(void)
{
printf("be happy\n");
printf("my frined \t hi");
return 0;
}
\t 8칸씩 나누어 출력
\b 한칸 왼쪽으로 이동
\r 맨앞으로 이동 ex) printf("cow\rW") cow가 출력되고 제어 문자 \r에 의해 커서가 첫 번째 칸으로 이동합니다.
그 자리에 W를 출력하면 c가 W로 바뀌어 Wow가 출력
\a 벨소리
be happy
my frined hi
정수와 실수 출력
printf 함수는 기본적을 문자열을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따라서 숫자를 출력할 때는 변환 문자를 사용해서 문자열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 여기서
정수는 %d
실수는 %lf를 사용합니다.
#include<stdio.h>
int main(void)
{
printf("%d\n", 10); //%d 위치에 10출력
printf("%lf\n", 3.4);//%lf 위치에 3.4를 소수점 이하 6자리까지 출력
printf("%.1lf\n", 3.45);//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출력(둘째 자리에서 반올림)
printf("%.10lf\n", 3.4); // 소수점 이하10자리 까지 출력
printf("%d과 %d의 합은 %d입니다.\n", 10, 20, 10 + 20);
printf("%.1lf- %.1lf = %.1lf\n", 3.4, 1.2, 3.4-1.2);
return 0;
}
10
3.400000
3.5
3.4000000000
10과 20의 합은 30입니다.
3.4- 1.2 = 2.2
'코딩 > c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그 외 유용한 연산자 (0) | 2021.04.28 |
---|---|
산술 연산자, 관계 연산자, 논리 연산자 (0) | 2021.04.27 |
c언어 3-1 (0) | 2021.04.24 |
c언어 2-2 상수와 데이터 표현 방법 (0) | 2021.04.23 |
c언어 (0) | 2021.04.23 |